2025.11.17 (월) 법원별 경매결과
| 전체 물건수 | 매각 물건수 | 평균매각가율 | 평균경쟁률 |
|---|---|---|---|
| 2,333건 | 486건 | 58.91% | 2.92명 |
📰 AI 체크포인트 뉴스
2025년 11월 17일
'2025.11.17 (월) 전국 법원별 경매결과 – ‘금리 눈치싸움’ 속 알짜 물건만 번쩍!'
17일 전국 법원 경매시장이 확 달아올랐다. 총 2,333건 중 486건이 새 주인을 찾았고 평균 매각가율은 58.91%, 경쟁률은 2.92명. 금리 인하 기대는 커졌지만 시장은 여전히 ‘가려 뽑기’ 중이라 인기 물건과 비인기 물건의 온도 차가 극명했다.
전국 최고 낙찰가는 수원평택에서 나왔다. 평택 임야가 무려 59억 666만원에 팔리며 “땅의 힘”을 다시 증명했다. 최고 매각가율은 광주목포 무안 대지가 431.25%로 기록, 감정가가 무색해질 정도였다. 가장 많은 사람이 몰린 곳은 전주본원 아파트로 무려 23명이 경쟁했다.
서울동부는 평균 매각가율 82.55%로 수도권에서 가장 탄탄했다. 강동구 아파트는 16억원에 낙찰되며 ‘서울 아파트 강세설’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인천에서는 계양구 근린생활시설이 9억 5,999만원에 팔리며 상업용 자산도 기지개를 켜는 분위기다.
수원본원에서는 용인 아파트가 7억 2,022만원에 거래됐고, 춘천본원 인제 상가주택은 4억 23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지방 시장은 물건별 매각가율이 요동치며 ‘선택과 집중’이 두드러졌다.
대전천안은 평균 경쟁률 7.86명으로 가장 뜨거웠고, 천안 아파트는 3억 5,100만원에 낙찰됐다. 대구안동 영주 단독주택은 6억원에 팔리며 137.88%의 기염을 토했다.
포항에서는 철도용지가 19억 1,000만원에 거래되며 시선을 끌었고, 부산동부에서는 남구 아파트가 7억 5,255만원에 낙찰됐다.
경남권에서는 진주 다가구주택이 10억 7,150만원, 통영 근린상가는 4억원에 각각 거래되며 지역별 수요가 확연히 갈렸다. 전남권도 활기를 보였다. 목포 숙박시설이 14억 7,399만원, 여수 아파트가 2억 4,705만원에 낙찰되며 관광·주거 수요가 섞여 움직였다.
전주본원에서는 근린생활시설이 18억 1,000만원에 매각되는 등 상업용 수요가 강세였고, 익산 공장은 7억 1,600만원에 팔리며 산업시설 인기도 여전했다.
전북 서해안권에서는 토지 거래도 이어졌지만 매각가율은 지역 간 편차가 커 ‘땅도 사람도 입지 따라 움직인다’는 말이 다시 떠올랐다.
최근 정부의 공급 조정 기조와 금리 눈치싸움이 이어지면서 알짜 자산 중심의 쏠림 현상은 한동안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17일 전국 법원 경매시장이 확 달아올랐다. 총 2,333건 중 486건이 새 주인을 찾았고 평균 매각가율은 58.91%, 경쟁률은 2.92명. 금리 인하 기대는 커졌지만 시장은 여전히 ‘가려 뽑기’ 중이라 인기 물건과 비인기 물건의 온도 차가 극명했다.
전국 최고 낙찰가는 수원평택에서 나왔다. 평택 임야가 무려 59억 666만원에 팔리며 “땅의 힘”을 다시 증명했다. 최고 매각가율은 광주목포 무안 대지가 431.25%로 기록, 감정가가 무색해질 정도였다. 가장 많은 사람이 몰린 곳은 전주본원 아파트로 무려 23명이 경쟁했다.
서울동부는 평균 매각가율 82.55%로 수도권에서 가장 탄탄했다. 강동구 아파트는 16억원에 낙찰되며 ‘서울 아파트 강세설’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인천에서는 계양구 근린생활시설이 9억 5,999만원에 팔리며 상업용 자산도 기지개를 켜는 분위기다.
수원본원에서는 용인 아파트가 7억 2,022만원에 거래됐고, 춘천본원 인제 상가주택은 4억 23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지방 시장은 물건별 매각가율이 요동치며 ‘선택과 집중’이 두드러졌다.
대전천안은 평균 경쟁률 7.86명으로 가장 뜨거웠고, 천안 아파트는 3억 5,100만원에 낙찰됐다. 대구안동 영주 단독주택은 6억원에 팔리며 137.88%의 기염을 토했다.
포항에서는 철도용지가 19억 1,000만원에 거래되며 시선을 끌었고, 부산동부에서는 남구 아파트가 7억 5,255만원에 낙찰됐다.
경남권에서는 진주 다가구주택이 10억 7,150만원, 통영 근린상가는 4억원에 각각 거래되며 지역별 수요가 확연히 갈렸다. 전남권도 활기를 보였다. 목포 숙박시설이 14억 7,399만원, 여수 아파트가 2억 4,705만원에 낙찰되며 관광·주거 수요가 섞여 움직였다.
전주본원에서는 근린생활시설이 18억 1,000만원에 매각되는 등 상업용 수요가 강세였고, 익산 공장은 7억 1,600만원에 팔리며 산업시설 인기도 여전했다.
전북 서해안권에서는 토지 거래도 이어졌지만 매각가율은 지역 간 편차가 커 ‘땅도 사람도 입지 따라 움직인다’는 말이 다시 떠올랐다.
최근 정부의 공급 조정 기조와 금리 눈치싸움이 이어지면서 알짜 자산 중심의 쏠림 현상은 한동안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 당일 수집한 경매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된 기사로, 이후 재진행이나 매각 불허 등 절차에 따라 통계 수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실제 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아래의 그래프를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읍니다.





















































































